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이사를 하면 꼭 해야 하는 전입신고,
예전에는 주민센터에 가서 번호표를 뽑고 기다려야 했지만,
요즘은 집에서도 단 5분이면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를 끝낼 수 있습니다.
오늘은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를 하는 방법을 쉽게 설명해드릴게요!
📋 준비물
-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
- 공동인증서(공인인증서), 간편인증 앱 (카카오, PASS 등)
- 세대주와의 동의가 필요한 경우: 세대주의 인증
🌐 어디서 신청하나요?
전입신고는 정부24에서 신청합니다.
👉 정부24 전입신고 바로가기
📝 전입신고 인터넷 신청 절차
1️⃣ 정부24 접속 및 로그인
- 정부24 사이트에 접속합니다.
- 오른쪽 상단에서 로그인합니다.
- 공동인증서나 간편인증으로 본인 확인을 합니다.
2️⃣ 전입신고 검색
- 검색창에 ‘전입신고’를 입력하고 선택합니다.
- ‘전입신고 신청’ 메뉴로 들어갑니다.
3️⃣ 신청서 작성
- 현재 주소와 새로운 주소를 입력합니다.
- 전입 사유(이사, 가족 동거 등)를 선택합니다.
- 새로운 주소의 세대주가 다른 사람이라면 세대주의 동의를 받는 절차가 진행됩니다.
(세대주에게 승인 요청 알림이 갑니다.)
4️⃣ 완료 및 확인
- 신청을 완료하면 처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주민센터 방문 없이 신청이 끝납니다.
💰 수수료는?
- 전입신고는 무료입니다.
- 처리 기간은 보통 당일~1일 이내입니다.
🔷 자주 묻는 질문
❓ 이사한 당일에 신청해야 하나요? | 📅 이사 후 14일 이내에 신고하면 됩니다. |
❓ 모바일로도 가능한가요? | 📱 네, 정부24 앱에서도 신청 가능합니다. |
❓ 세대주가 다른 사람일 때는 어떻게 하나요? | 👨👩👧 세대주의 동의가 필요하며, 세대주가 정부24에서 승인하면 됩니다. |
🧹 마무리 TIP
- 전입신고가 완료되면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바뀌고, 공과금, 우편물 등도 새 주소로 배달됩니다.
- 이사 후 빠르게 신청해 두어야 행정적인 불편을 피할 수 있습니다.
반응형